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26)
미국생활 (0)
InfoReview (4)
Industry (16)
잡담 (3)
Resource (3)
Communication (0)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2009. 9. 30. 14:14

기술적인 분야에서 리더십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어떤 기술을 개발할지, 어떤 방향으로 어떻게 개발하고 어떤 식으로 생태계를 만들어낼지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단체, 회사 혹은 개인의 역할에 따라서 거의 동등한 기술이 시장에서 자원만 낭비한채 흐지부지 사라지기도 하고, 막대한 경제효과를 동반하는 트렌드로 자리 잡기도 한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는 단일 리더십의 대표적인 모델이다. 빌 게이츠라는 확실한 리더와, 윈도라는 단일 플랫폼을 독자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면서 시장을 평정했다. 애플역시 운영체제와 하드웨어, 그리고 최근의 아이폰에 이르기까지 강력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자사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생태계를 만들어냈다.


반면, 리눅스는 분산 리더십의 성공 모델이다. 물론 리누스 토발즈라는 개인에 의해서 시작되었고, 여전히 그가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는 있지만, 리눅스의 가치를 만들어내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이나 혁신은 불특정 다수의 개인이나 단체로 부터 나오고 있다.  ARM은 리눅스와 더불어 분산 리더십의 대표적인 케이스다. 현재 PC용 프로세서 시장을 실질적으로 독점하고 있는 인텔이, IA (Intel Architecture)를 독점적으로 개발하고 발전시켜가며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데 비해, ARM은 코어 기술을 개발한 후에 시장의 수많은 회사들에게 라이센스 함으로써,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들의 프로세서 아키텍쳐가 활용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런 전략의 성공으로 현재 모바일 프로세서 시장을 실질적으로 독점하고 있는 것이다.


모바일 소프트웨어 플랫폼도 비슷한 방식으로 나눠서 볼 수 있다. 리모(LiMo) 파운데이션은 민주주의적인 의사 결정을 지향한다. 각종 워킹 그룹을 통해서 기술적인 방향과 정책 결정에 대해서 토론을 벌이고, 궁극적인 의사 결정은 조직의 최 상위에 위치하는 이사회에서 여러 회사들간의 투표로 이루어진다. 특정 회사의 입김에 의해서 좌지우지 되기 어려운 구조이며, 따라서 제조사들이나 통신사들이 차세대 플랫폼으로 키워보기 좋은 방식이라고 믿고 있는 듯 하다. 반면에, 너무 민주적인 의사 결정 구조로 인해서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상황에 대응이 늦고, 기술적이거나 혹은 전략적인 우위에 의해서가 아니고 정치적인 상황에 따라서 결정이 좌우될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요즘 모바일 플랫폼의 화두인 안드로이드는 구글의 강력한 리더십에 의존하고 있다. 2007년에 결성된 OHA (Open Handset Alliance)는 구글이 직접 하나씩 선택한 34개의 창립 멤버에 의해서 이루어진 단체이며, 그 뒤로 몇 몇 회사들이 더 가입하긴 했지만, 여전히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방향은 구글에 의해서 결정된다. 사실 구글이 현재 안드로이드 플랫폼에 대해서 겪고 있는 딜레마가 바로 이 모순된 구조에서 나온다. 안드로이드는 오픈 소스의 개방형 모바일 플랫폼이다. 즉, 누구든 자유롭게 안드로이드 소스 코드를 가져다가 원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는데 거의 제약이 없다. 커널이나 드라이버쪽의 경우 GPL이나 BSD 등의 다양한 라이센스 모델이 있고, 그에 따라서 소스 공개의 의무나 상용으로 사용할 경우에 확인을 해 봐야 하는 부분들이 있겠지만, 미들웨어와 그 윗단의 많은 부분은 아파치 라이센스로 되어 있어서 소스 공개의 의무조차 없다.


그런 반면에 구글이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통해서 얻고자 하는, 모바일 환경에서 자유로운 정보의 소통이라는 목적은, 어느 정도 잘 정의되고 호환이 가능한 기반 플랫폼이 있어야 가능하다. 개인 개발자들이나 미들웨어 혹은 어플리케이션 벤더들이, 안드로이드라는 표준 플랫폼이라면 모든 사업자의 모든 모델에서 응용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그래야 아이폰을 이길 수 있는 창의적인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그리고 이를 둘러싼 생태계가 활발하게 유지될 것이다. 아이폰은 애플의 강력한 통제에 의해서 플랫폼 호환성을 지켜가고 있다. 현재 구글의 가장 큰 고민 가운데 하나는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시장에서 활발하게 받아들이고 빠른 시간안에 제품이 나올 수 있도록, 최소한의 통제를 가한 개방형 정책을 유지하면서 어떻게 하면 이에 따르는 다양한 변종 플랫폼의 난립 문제를 해결할 것이냐라는 것일 지도 모른다.


한가지 재미난 방식은 모블린(Moblin)에서 취한 모델이다. 모블린은 인텔이 만들고, 여전히 가장 강력히 후원하고 있는 모바일 플랫폼이지만, 최근에 리눅스 파운데이션으로 지배권을 넘겼다. (http://www.idg.co.kr/newscenter/common/newCommonView.do?newsId=54880) 애플 방식과 구글 방식의 중간쯤 되는 형식을 시도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잘 되면 상업적인 후원과 리더십의 장점에 오픈소스 모델의 다양성이 가미되어서 좋은 작품이 나올 수도 있지만, 실패할 경우 인텔에 특화된 것도 아니고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지원도 받지 못하는 어정쩡한 모델로 남을 수도 있을테니, 앞으로 넷북용정식 버전이 나오고, 내년 초에 MID용 버전까지 나오게 되면 한번 지켜볼 일이다.